Category: Develop

0

JPA 연관 관계 - 양방향 연관관계와 연관과계의 주인

목차 JPA 연관 관계 - 고아 객체 JPA 연관 관계 - 즉시로딩과 지연로딩 JPA 연관 관계 - 프록시 객체 JPA 연관 관계 - @MappedSuperclass JPA 연관 관계 - 상속 관계 Mapping JPA 연관 관계 - 영속성 전이 Cascade JPA 연관 관계 - 양방향 연관관계와 연관과계의 주인 JPA 연관 관계 - 양방향 연관관계 JPA 연관 관계 - 객체 지향 스럽게 모델링 하기 JPA 연관 관계 - 객체 관계 모델링하기 JPA 연관 관계 양방향 연관관계의 문제점 객체에서는 각기 다른 객체에서 참조하는 객체를 업데이트 하는 방법이 두 가지가 발생한다. 양방향 연관관계의 해결 방법 객체의 두 관계중 하나를 연관관계의 주인 으로 지정해 주인만이 외래 키를 관리하게 한다.(등록, 수정)주인이 아닌 쪽은 읽기만 가능하다 양방향 연관관계 주인 정하기 Foreign Key (외래키) 가 있는 곳을 주인으로 정해라 연관관계의 주인은 mappedBy 속성을 사용할 수 없다. 연관관계 주인이 아니면 mappedBy 속성을 사용할 수 있다.

0

JPA 연관 관계 - 양방향 연관관계

목차 JPA 연관 관계 - 고아 객체 JPA 연관 관계 - 즉시로딩과 지연로딩 JPA 연관 관계 - 프록시 객체 JPA 연관 관계 - @MappedSuperclass JPA 연관 관계 - 상속 관계 Mapping JPA 연관 관계 - 영속성 전이 Cascade JPA 연관 관계 - 양방향 연관관계와 연관과계의 주인 JPA 연관 관계 - 양방향 연관관계 JPA 연관 관계 - 객체 지향 스럽게 모델링 하기 JPA 연관 관계 - 객체 관계 모델링하기 JPA 연관 관계 객체와 테이블이 관계를 맺는 차이 객체의 양방향 관계는 사실 양방향 관계가 아니라 서로다른 단방향 관계 2개 다.테이블은 외래키 하나 로 두 테이블의 연관관계를 관리한다. 객체 : 연관관계 2개 (단방향 2개) 회원 —> 팀 연관관계 1개 (단방향) 팀 —> 회원 연관관계 1개 (단방향) 테이블 : 연관관계 1개 (양방향 1개) 회원 <—> 팀의 연관관계 1개 (양방향) 양방향 연관관계로 설계하기1:N 연관관계 Mapping OneToMany 어노테이션을 이용해 1:N 연관관계를 Mapping 한다. mappedBy 속성을 이용해 연관된 Entity 클래스 내 field 이름을 넣어준다. @Entitypublic class Team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Column(name = "TEAM_ID")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OneToMany(mappedBy = "team") private List<Member> members = new ArrayList<>();}

0

JPA 연관 관계 - 객체 관계 모델링하기

목차 JPA 연관 관계 - 고아 객체 JPA 연관 관계 - 즉시로딩과 지연로딩 JPA 연관 관계 - 프록시 객체 JPA 연관 관계 - @MappedSuperclass JPA 연관 관계 - 상속 관계 Mapping JPA 연관 관계 - 영속성 전이 Cascade JPA 연관 관계 - 양방향 연관관계와 연관과계의 주인 JPA 연관 관계 - 양방향 연관관계 JPA 연관 관계 - 객체 지향 스럽게 모델링 하기 JPA 연관 관계 - 객체 관계 모델링하기 JPA 연관 관계 외래키를 객체 내 Field 값 으로 모델링 @Entitypublic class Team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Column(name = "TEAM_ID") private Long id; @Column private String name;} @Entitypublic class Member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Column(name = "MEMBER_ID") private long id; @Column(name = "USERNAME") private String username; @Column(name = "TEAM_ID") private Long teamId; // 외래키를 Field 값으로 갖는다.} Member 가 소속된 Team 정보 가져오기 Member 가 소속된 Team 정보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Member Id를 이용해 해당 Member 객체를 가져와 저장된 Team Id를 가져온 후 해당 Team Id를 이용해 Member가 소속된 Team 을 조회해야 한다. Team team = new Team();team.setName("TeamA");entityManager.persist(team);Member member = new Member();member.setUsername("member1");member.setTeamId(team.getId());entityManager.persist(member);Member findMember = entityManager.find(Member.class, member.getId());Long findTeamId = findMember.getTeamId();Team findTeam = entityManager.find(Team.class, findTeamId); 객체 지향 스럽지 못한 모델링

0

JPA 연관 관계 - 객체 지향 스럽게 모델링 하기

목차 JPA 연관 관계 - 고아 객체 JPA 연관 관계 - 즉시로딩과 지연로딩 JPA 연관 관계 - 프록시 객체 JPA 연관 관계 - @MappedSuperclass JPA 연관 관계 - 상속 관계 Mapping JPA 연관 관계 - 영속성 전이 Cascade JPA 연관 관계 - 양방향 연관관계와 연관과계의 주인 JPA 연관 관계 - 양방향 연관관계 JPA 연관 관계 - 객체 지향 스럽게 모델링 하기 JPA 연관 관계 - 객체 관계 모델링하기 JPA 연관 관계 객체 지향 스럽게 모델링 하기 객체는 참조를 이용해 다른 객체를 가져올 수 있다. 한 객체내에 관련된 객체 정보를 가질 수 있도록 모델링한다. Member 에서 Team 정보를 가져올 때 Member 객체 내 참조 를 통해 정보를 가져올 수 있다. N:1 연관 관계를 명시할 때는 @ManyToOne 과 @JoinColumn 을 이용해 관계를 나타낸다. @Entitypublic class Member { @Id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username; @ManyToOne @JoinColumn private Team team; // Member 객체 내에서 관련된 Team 객체를 관리할 수 있도록 변경} Member 가 소속된 Team 정보 가져오기

0

JPA 연관 관계

목차 JPA 연관 관계 - 고아 객체 JPA 연관 관계 - 즉시로딩과 지연로딩 JPA 연관 관계 - 프록시 객체 JPA 연관 관계 - @MappedSuperclass JPA 연관 관계 - 상속 관계 Mapping JPA 연관 관계 - 영속성 전이 Cascade JPA 연관 관계 - 양방향 연관관계와 연관과계의 주인 JPA 연관 관계 - 양방향 연관관계 JPA 연관 관계 - 객체 지향 스럽게 모델링 하기 JPA 연관 관계 - 객체 관계 모델링하기 JPA 연관 관계 JPA 연관 관계 테이블과 객체 간 패러타임 차이로 인해 생기는 문제가 있다. 그 중 대표적인게 테이블 연관관계 를 객체로 풀어내는 것테이블간의 연관관계를 객체 연관관계로 풀어내기 위해서는 아래 3가지 조건을 잘 이해해야 한다. 방향 테이블 연관관계는 양방향 객체의 연관관계는 단방향으로만 존재한다. 객체의 양방향 관계는 단방향 관계 2개를 이용해 만들어준다. 다중성 One To One(일대일) 1:1 One To Many(일대다) 1:N Many To One(다대일) N:1 Many To Many(다대다) N:M 연관관계의 주인 테이블 연관관계를 객체 양방향 연관관계로 만들기 위해서는 연관관계 주인 을 정해야 한다. 객체의 두 관계중 하나를 연관관계의 주인으로 지정해 주인만이 외래 키 를 관리하게 한다. 연관관계 주인은 외래키를 이용해 (등록, 수정) 등이 가능하지만 주인이 아닌 쪽은 읽기 만 가능하다 JoinColumn 어노테이션 외래키 를 매핑할 때 사용하는 어노테이션 속성 기능 기본 값 name 매필할 외래키 이름을 명시한다. 필드명 + _ + 참조하는 테이블 기본키 컬럼명 referencedColumnName 외래 키가 참조하는 대상 테이블 컬럼명 참조하는 테이블의 기본키 컬럼명 foreignKey 외래키 제약 조건을 직접 지정할 수 있다. unique, nullable, insertable, updatable, columnDefinition, table @Column 속성과 같다.

0

HttpClient 사용하기 - Multipart Parameter 보내기

HttpClient 사용하기 HttpClient 사용하기 - Paramater 보내기 HttpClient 사용하기 - Multipart Parameter 보내기 HttpClient 사용하기 - Multipart Parameter 보내기 Client가 서버로 파일 을 전송하거나 한번에 여러개의 Form 데이터 를 보내기 위해 사용하는 방식이다. 이미지와 같은 Binary 데이터는 기존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나 application/json 과 같은 요청으로 적절치 않아 multipart/form-data 형태의 데이터로 요청을 보낸다.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는 보내는 Paramater를 encoding 해서 전송한다. 데이터가 영숫자가 아닌 경우 3바이트로 표현하기 때문에 바이너리 파일을 전송할 경우 페이로드를 3배로 만들기 때문에 비효율 적이다. multipart/form-data 의 경우는 전송한 모든 문자를 인코딩하지 않은 형태로 보낸다. 의존성 추가하기// https://mvnrepository.com/artifact/org.apache.httpcomponents/httpmimeimplementation group: 'org.apache.httpcomponents', name: 'httpmime', version: '4.3.4' MultipartEntityBuilder 를 이용해 HttpEntity 객체 생성 MultipartEntityBuilder 를 이용해 쉽게 Text나 파일을 (Key, Value) 형태로 Request Body 에 넣을 수 있다. Text를 보낼때는 addTextBody 메소드를 이용해 값을 넣어주고 이미지나 파일 데이터를 보낼 때는 addBinaryBody 메소드를 이용해 Binary 파일 을 넣어주고 Content Type 으로 MULTIPART_FORM_DATA 를 명시해준다.

0

HttpClient 사용하기 - Paramater 보내기

HttpClient 사용하기 HttpClient 사용하기 - Paramater 보내기 HttpClient 사용하기 - Multipart Parameter 보내기 HttpClient 사용하기 - Paramater 보내기 Client가 서버로 요청과 함께 Paramater를 보내는 방법은 크게 Form 형태의 데이터를 보내는 방법과 JSON 형태의 데이터를 보내는 방법이 있다. 보통 Form 형태의 데이터는 (Key, Value) 형태의 데이터로 Http Body에 넣어서 보내고 JSON 형태의 데이터는 String 형태로 변환해 Http Body에 넣어서 보낸다. Form 형태의 데이터를 보낼 때 Header는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로 요청을 보내고 JSON 형태의 데이터를 보낼 때 Header는 application/json 로 요청을 보낸다. Paramater 요청 받을 수 있는 Back-end 코드/test/params 에 들어오는 Http 요청과 함께 오는 Paramater 내용을 찍어주는 로직을 작성해준다. Form 형태의 Paramater를 받을 때는 @RequestParam 을 이용해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다. @PostMapping("/test/params")public ResponseEntity testParams(@RequestParam("name") String name, @RequestParam("nickname") String nickName){ log.info("=========================== start ============================"); log.info("Name : " + name); log.info("Nickname : " + nickName); log.info("============================ end ============================="); return ResponseEntity.ok().build();} 요청시 보내는 Paramater 작성 요청시 보내는 Paramater는 NameValuePair 객체를 이용해 (Key, Value) 형태로 값을 넣어준다. 작성이 완료된 NameValuePair 객체를 이용해 HttpEntity 객체를 생성한다. HttpEntity 객체를 요청 객체 Entity에 넣어서 Http 요청을 보내면 요청시 Paramater도 같이 전달 된다. UrlEncodedFormEntity 를 이용해 만들어진 Entity에 대한 요청은 ContentType 이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으로 보내진다. List<NameValuePair> params = new ArrayList<>();params.add(new BasicNameValuePair("name", "test"));params.add(new BasicNameValuePair("nickname", "victor"));// NameValuePair 객체 이용해 HttpEntity 객체를 생성한다.HttpEntity entity = new UrlEncodedFormEntity(params);// 요청 객체에 Entity에 Paramater 넣어주기httpPost.setEntity(entity);

0

HttpClient 사용하기

HttpClient 사용하기 HttpClient 사용하기 - Paramater 보내기 HttpClient 사용하기 - Multipart Parameter 보내기 HttpClient 사용하기 HttpClient 는 Apache에서 제공하는 라이브러리로 HTTP 를 사용하는 통신에 손쉽게 자원을 요청하고 응답받을 수 있게 도와준다. // https://mvnrepository.com/artifact/org.apache.httpcomponents/httpclientimplementation group: 'org.apache.httpcomponents', name: 'httpclient', version: '4.3.4' Back-end ControllerHttpClient 를 사용해 요청 테스트를 진행하기 위한 서버 Controller를 생성한다. @RestControllerpublic class HttpClientBackend { @PostMapping("/hello") @CrossOrigin(origins = "*", allowedHeaders = "*") public String hello(){ return "Hello World!"; }} HttpClient 객체 가져오기

0

백준 14592 - 연구소

백준 14592 - 연구소https://www.acmicpc.net/problem/14592 문제풀이해당 문제에서는 3가지 입력 N, M, 지도 모양이 주어진다. N : 세로 크기 M : 가로 크기 지도 정보 지도 내 상태는 3가지 상태가 존재한다. 0 : 빈칸 1 : 벽 2 : 바이러스 알고리즘 실행계획은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 벽을 세운다. 바이러스 확산 시킨다. 바이러스 영역을 확인한다.

0

백준 1158 - 요세푸스 문제

백준 1158 - 요세푸스 문제https://www.acmicpc.net/problem/1158 문제 풀이해당 문제에서는 두가지 입력 N, K가 주어진다. N : 사람 수 K : 원에서 사람이 제거되는 간격 N, K의 최대 5000 이므로, 최대 O(N^2)의 시간복잡도내에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전체 소스 코드import java.io.*;import java.util.*;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 arguments = br.readLine().split(" "); int N, K; N = Integer.parseInt(arguments[0]); K = Integer.parseInt(arguments[1]); List<Integer> list = new ArrayList<>(); for (int i = 0; i < N; i++) { list.add(i + 1); } int index = 0;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sb.append("<"); // 사람을 간격에 맞게 하나씩 제거해준다. while (list.size() > 1) { index += K - 1; index %= list.size(); int removedValue = list.remove(index); sb.append(Integer.toString(removedValue)); sb.append(", "); } // 마지막 숫자를 제거한다. index += K - 1; index %= list.size(); int removedValue = list.remove(index); sb.append(Integer.toString(removedValue)); sb.append(">"); System.out.println(sb.toString()); br.close(); }}

0

JPA - Persist Context (영속성 컨텍스트)

목차 JPA - Entity의 생명주기 JPA - Persist Context (영속성 컨텍스트) Persist Context (영속성 컨텍스트) 란? JPA 가 Entity 를 관리하기 위한 공간, Entity 상태가 Database 에 반영되기 전까지 Entity 의 읽기/쓰기/수정/삭제를 상태 관리한다. EntityManagerFactory 에서 EntityManager 를 생성하고 EntityManager 를 이용해 영속성 컨텍스트에 접근할 수 있다. EntityManager 를 이용해 Entity(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조회하면 영속성 컨텍스트에서 해당 Entity 를 관리하게 된다. EntityManager 는 Transaction 단위로 영속성 컨텍스트를 생성하고 지운다. EntityManager 와 영속성 Context가 1:1로 대응이 된다. 영속성 Context는 내부에 1차 cache가 존재하고 (key, value) 형태로 데이터를 관리한다.장점 : buffering이나 Caching을 할 수 있다. @Id Entity Member1 member @Id : Key Entity : 객체 영속성 컨텍스트의 이점

0

JPA 프로그래밍(기본편) 2 - JPA 설정하기

JPA 프로그래밍(기본편) 2 - JPA 설정하기Entity 생성하기Entity 어노테이션을 통해 JPA가 관리하는 객체임을 명시해준다. @Entitypublic class Member { @Id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public long getId() { return id; } public void setId(long id) { this.id = id; }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EntityManagerFactory 생성하기 JPA를 사용하기 위해 persistence.xml에 JPA 설정 정보를 넣어 줬다. 해당 정보를 사용하기 위해서 EntityManagerFactory를 생성해주도록 한다. EntityManagerFactory entityManagerFactory = Persistence.createEntityManagerFactory("hello"); EntityManager 생성하기EntityManagerFactory를 이용해 EntityManager를 생성해준다.

0

JPA 프로그래밍(기본편) 1 - JPA 설정하기

JPA 프로그래밍(기본편) 1 - JPA 설정하기의존성 추가하기JPA를 사용하기 위해서 JPA를 구현한 hibernate 라이브러리를 사용한다. DB로는 메모리 DB인 H2 DataBase를 사용하도록 한다. <!-- JPA 하이버네이트 --><dependency> <groupId>org.hibernate</groupId> <artifactId>hibernate-entitymanager</artifactId> <version>5.3.10.Final</version></dependency><!-- H2 데이터베이스 --><dependency> <groupId>com.h2database</groupId> <artifactId>h2</artifactId> <version>1.4.200</version></dependency> JPA Setting 하기resource/META-INF/persistence.xml JPA 표준 문법 설정 javax.persistence.jdbc.driver : 사용하고자 하는 DB 드라이버를 설정한다. javax.persistence.jdbc.user : DB에 접근하기 위한 Username javax.persistence.jdbc.password : DB에 접근하기 위한 Password javax.persistence.jdbc.url : 접근하고자 하는 DataBase 경로 hibernate 전용 문법 설정

0

프로그래머스 - 카드 짝 맞추기 (Cpp)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72415 문제 풀이좌표를 이동할 때 고려해야 하는 상황이 2가지가 있다 첫 번째 상, 하, 좌, 우 한칸씩 이동하는 경우와 한번에 카드가 있는 곳이나 벽쪽으로 바로 이동하는 경우다.카드를 찾는 경우의 수를 만드는데 있어 고려해야 하는 사항이 2가지가 있다. 첫번째는 서로 다른 카드를 찾아가는 경우의 수와 같은 숫자를 찾는 순서를 정하는 경우의 수다.예를 들어 1 -> 2 -> 3 의 순서로 카드를 찾아간다고 하면 (1 -> 1 짝 찾는 순서) -> (2 -> 2 짝 찾는 순서) -> (3 -> 3 짝 찾는 순서) 를 고려해야 한다는 의미다. 경우의 수가 만들어지면 각 순서에 맞게 BFS를 이용해 최단거리를 구해주면 된다. 다만, 카드는 짝을 만다면 사라지므로 최단 거리를 찾을 때 board 에서 카드가 사라졌는지에 대한 여부도 고려하면서 이동해줘야 한다. 고려 사항 enter를 누르는 것도 count 1을 갖는다. 카드 뒤집는 모든 경우의 수를 계산해야 한다. 1, 2, 3 서로 다른 카드를 찾아가는 경우의 수를 찾는다. 각각의 순서를 고려 하므로 순열의 경우의 수를 갖는다. 1 -> 1, 2 -> 2, 3 -> 3 각각 짝을 만드는 방향이 단방향으로 정해진 것이 아니기 때문에 반대 방향에 대해서도 고려애 줘야 한다. 즉, 최대 경우의 수는 6! * 2 ^ 6 이된다. 이동할 때 카드가 사라졌는지 확인해야 한다. board 에서 각 카드의 위치 찾기int findCards(vector<vector<int>>& board) { int count = 0; for (int i = 0; i < 4; i++) { for (int j = 0; j < 4; j++) { int value = board[i][j]; if (value > 0) { cards[value].push_back({i, j}); count++; } } } return (count / 2);} 카드를 뒤집는 모든 경우의 수 찾기

0

프로그래머스 - 합승 택시 요금 (Cpp)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72413 문제 풀이모든 간선의 weight가 음수가 아닌 값, 시작점 s에서 도착할 수 있는 거리의 최소 비용을 구하는 문제라 다익스트라를 이용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시작점 s에서 시작해 x점까지 같이 이동하는 최소 비용 + x점에서 시작해 a점까지 이동하는 최소 비용 + x점에서 시작해 b점까지 이동하는 최소 비용 중에서 가장 값이 작은 값을 찾는 문제다.원리는 간단하지만 다익스트라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풀 수 있는 문제다. void dijkstra(int node) { for (int i = 1; i < 220; i++) { dist[node][i] = INF; } priority_queue<pair<int, int>> pq; pq.push(make_pair(0, node)); dist[node][node] = 0; while (!pq.empty()) { int nodeDist = -pq.top().first; int cntNode = pq.top().second; pq.pop(); if (dist[node][cntNode] != nodeDist) { continue; } for (pair<int, int> vertex : graph[cntNode]) { int nextWeight = nodeDist + vertex.second; int nextNode = vertex.first; if (nextWeight < dist[node][nextNode]) { dist[node][nextNode] = nextWeight; pq.push(make_pair(-nextWeight, nextNode)); } } }} 전체 소스 코드#include <bits/stdc++.h>using namespace std;const int INF = 987654321;long long dist[220][220];vector<vector<pair<int, int>>> graph;void dijkstra(int node) { for (int i = 1; i < 220; i++) { dist[node][i] = INF; } priority_queue<pair<int, int>> pq; pq.push(make_pair(0, node)); dist[node][node] = 0; while (!pq.empty()) { int nodeDist = -pq.top().first; int cntNode = pq.top().second; pq.pop(); if (dist[node][cntNode] != nodeDist) { continue; } for (pair<int, int> vertex : graph[cntNode]) { int nextWeight = nodeDist + vertex.second; int nextNode = vertex.first; if (nextWeight < dist[node][nextNode]) { dist[node][nextNode] = nextWeight; pq.push(make_pair(-nextWeight, nextNode)); } } }}int solution(int n, int s, int a, int b, vector<vector<int>> fares) { int answer = 0; graph = vector<vector<pair<int, int>>>(n + 1); for (vector<int> fare : fares) { int start = fare[0]; int end = fare[1]; int weight = fare[2]; graph[start].push_back(make_pair(end, weight)); graph[end].push_back(make_pair(start, weight)); } // dijkstra_start(s); for (int i = 1; i <= n; i++) { dijkstra(i); } long long minValue = INF; for (int i = 1; i <= n; i++) { if (minValue > dist[s][i] + dist[i][a] + dist[i][b]) { minValue = dist[s][i] + dist[i][a] + dist[i][b]; } } answer = minValue; return answ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