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0

[Jenkins] - Gitea 와 연동하기

목차 [Jenkins] - Jenkinsfile 작성하기 [Jenkins] - Gitea 와 연동하기 [Jenkins] - Agent 추가하기 [Jenkins] - Helm 을 이용한 Jenkins 설치하기 Jenkins 란Erorr : You must be logged in to the server (Unauthorized)참고 https://code00.tistory.com/123 https://hub.docker.com/r/jenkins/inbound-agent https://github.com/jforge/docker-jenkins-inbound-agent https://www.jenkins.io/doc/pipeline/steps/docker-workflow/ https://tech.osci.kr/2020/01/21/kubernetes%EC%83%81%EC%9D%98-jenkins-%ED%8C%8C%EC%9D%B4%ED%94%84%EB%9D%BC%EC%9D%B8-%EC%9E%91%EC%84%B1%EB%B0%A9%EB%B2%95/ https://www.codurance.com/publications/2019/05/30/accessing-and-dumping-jenkins-credentials https://www.jenkins.io/doc/pipeline/steps/credentials-binding/ https://www.jenkins.io/doc/pipeline/steps/pipeline-aws/ https://awstip.com/deploying-a-spring-boot-application-on-aws-eks-using-jenkins-cicd-a-step-by-step-guide-8e684f488ffc Erorr : You must be logged in to the server (Unauthorized) https://aws.amazon.com/ko/premiumsupport/knowledge-center/eks-api-server-unauthorized-error/ Timezone 변경controller: javaOpts: "-Dorg.apache.commons.jelly.tags.fmt.timeZone=Asia/Seoul"

0

쿠버네티스 - Deployment

목차 Post not found: k8s/namespace Post not found: k8s/ingress 쿠버네티스 - Deployment Post not found: k8s/pod/replicaset 쿠버네티스 - Pod Deployment 어플리케이션을 클러스터 내의 여러 노드에 자동으로 배포 및 롤백 할 수 있는 리소스 클러스터에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배포하는 작업을 수항한다. Pod 를 개체를 관리한다. Deployment 를 이용해 Pod 를 생성하고 클러스터의 노드에 배포할 수 있다. Deployment 를 통해 Application 의 새로운 버전을 배포하거나 이전 버전으로 롤백할 수 있다. Deployment 를 생성하면 Deployment 에 해당하는 ReplicaSet 도 함께 생성된다. Deployment 리소스를 사용하면 애플리케이션의 상태, 레플리카 수, 롤링 업데이트, 롤백 등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여러 개의 Pod 인스턴스를 생성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이 Deployment의 주요 목적입니다. Pod는 컨테이너를 실행하는 단위이며, Deployment는 이러한 Pod 인스턴스들을 생성하고 관리합니다. Deployment는 Pod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필요에 따라 새로운 Pod를 생성하거나 종료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원하는 상태로 유지합니다. Deployment는 롤링 업데이트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합니다. 새로운 버전의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면 Deployment는 점진적으로 Pod를 업데이트하고 이전 버전과 새 버전을 동시에 실행하면서 서비스의 가용성을 유지합니다. 롤링 업데이트 중에 문제가 발생하면 롤백하여 이전 버전으로 되돌릴 수도 있습니다. Deployment 리소스는 YAML 또는 JSON 형식으로 정의되며,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 배포되어 관리됩니다. Deployment를 생성하면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레플리카셋(ReplicaSet)과 함께 생성됩니다. ReplicaSet은 Pod 인스턴스의 수를 지정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Deployment는 ReplicaSet을 업데이트하거나 롤백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합니다.

0

쿠버네티스 - StatefulSet

목차 쿠버네티스 - HPA (Horizontal Pod Autoscaler) 쿠버네티스 - Namespace 쿠버네티스 - Ingress Post not found: k8s/deployment/deployment Post not found: k8s/replicaset/replicaset 쿠버네티스 - Node 쿠버네티스 - Pod Post not found: k8s/k8s StatefulSet쿠버네티스(StatefulSet)는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내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를 유지하는 데 사용되는 컨트롤러입니다. 일반적으로 상태가 있는 애플리케이션인 데이터베이스, 메시지 큐 또는 파일 시스템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에 유용합니다. 쿠버네티스에서 일반적인 배포 유형인 Deployment는 상태를 가지지 않는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지만, StatefulSet은 상태를 유지해야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각 StatefulSet 팟은 고유한 네트워크 식별자와 지속적인 데이터 저장을 위한 별도의 볼륨을 갖습니다. 이러한 고유성은 팟이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서 생성, 업데이트 및 삭제될 때 유지됩니다. StatefulSet은 일련의 인스턴스를 정의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각 인스턴스는 순차적인 인덱스로 식별되며, 정의된 인스턴스 수에 따라 자동으로 생성 및 관리됩니다. 또한 StatefulSet은 인스턴스 간에 순차적으로 시작되고 종료되는 순서 보증을 제공합니다. StatefulSet을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면 각 인스턴스에 고유한 호스트 이름이 부여되고, 이를 통해 클러스터 내에서 인스턴스를 참조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은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의 마스터-슬레이브 설정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에서 중요합니다. StatefulSet은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StatefulSet은 팟이 실패한 경우 자동으로 새로운 인스턴스를 시작하여 애플리케이션의 가용성을 유지합니다. 또한 업그레이드 및 롤백과 같은 애플리케이션 버전 관리를 쉽게 할 수 있습니다. 요약하면, 쿠버네티스 StatefulSet은 상태가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되며, 각 인스턴스에는 고유한 식별자와 별도의 볼륨이 제공됩니다. 이를 통해 순차적

0

쿠버네티스 - DaemonSet

목차 Post not found: k8s/namespace Post not found: k8s/ingress 쿠버네티스 - Deployment Post not found: k8s/pod/replicaset 쿠버네티스 - Pod DaemonSet쿠버네티스( Kubernetes)에서 DaemonSet은 클러스터 내의 모든 노드에 특정 파드(Pod) 인스턴스를 배포하는 컨트롤러입니다. DaemonSet은 각 노드에서 반드시 실행되어야 하는 백그라운드 작업이나 로그 수집기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에 이상적입니다. 일반적인 ReplicaSet이나 Deployment와는 달리 DaemonSet은 모든 노드에서 파드를 실행하며, 새로운 노드가 클러스터에 추가되면 자동으로 해당 노드에 파드 인스턴스를 스케줄링합니다. 또한, 노드가 제거되면 DaemonSet은 해당 노드에서 실행 중인 파드를 자동으로 종료하고 대체 노드에서 실행될 새로운 파드 인스턴스를 생성합니다. DaemonSet은 주로 다음과 같은 사용 사례에 적합합니다: 로그 수집기: 모든 노드에서 로그를 수집하기 위해 DaemonSet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Fluentd, Filebeat 등의 로그 수집기를 DaemonSet으로 배포하여 모든 노드의 로그를 중앙 집중화된 위치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에이전트: 네트워크 에이전트는 모든 노드에서 실행되어 네트워크 정책을 구현하고 트래픽을 관리합니다. DaemonSet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에이전트를 클러스터의 모든 노드에 배포할 수 있습니다. 모니터링 및 메트릭 수집기: 클러스터의 모든 노드에서 메트릭 및 모니터링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DaemonSet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metheus, Telegraf 등의 도구를 DaemonSet으로 배포하여 모든 노드의 메트릭을 수집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DaemonSet을 사용하면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의 모든 노드에서 실행되어야 하는 작업을 쉽게 배포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0

쿠버네티스 - ReplicaSet

목차 Post not found: k8s/namespace Post not found: k8s/ingress 쿠버네티스 - Deployment Post not found: k8s/pod/replicaset 쿠버네티스 - Pod 참고 https://kubernetes.io/docs/concepts/overview/working-with-objects/labels/#label-selectors ReplicaSet 쿠버네티스에서 실행되는 Pod 의 Replica(복제본) 를 생성하고 지정된 Pod 수를 유지하는 오브젝트 ReplicaSet 은 파드의 개수를 모니터링하고, 파드의 개수가 지정된 개수보다 적으면 새로운 파드를 생성하고, 파드의 개수가 지정된 개수보다 많으면 기존의 파드를 삭제합니다. ReplicaSet은 특정 파드의 복제본 수를 지정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파드를 정의하는 템플릿과 함께 ReplicaSet을 생성하면 ReplicaSet은 해당 템플릿을 기반으로 복제본 파드를 생성합니다. 만약 파드의 복제본 수가 ReplicaSet의 목표값보다 적다면, ReplicaSet은 추가 파드를 생성하여 원하는 복제본 수를 유지하려고 시도합니다. 반대로, 파드의 복제본 수가 ReplicaSet의 목표값보다 많다면, ReplicaSet은 파드를 제거하여 원하는 복제본 수를 줄이려고 시도합니다. ReplicaSet은 파드의 복제본 수를 모니터링하며, 다양한 상황에서 자동으로 조치를 취합니다. 예를 들어, ReplicaSet이 파드의 수를 감지하고 즉시 새로운 복제본을 생성하여 장애가 발생한 파드를 대체할 수 있습니다. ReplicaSet은 롤링 업데이트(rolling update)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버전 업그레이드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는 예전 버전의 파드를 점진적으로 제거하고 새 버전의 파드를 생성하여 서비스 중단을 최소화합니다.

0

[Jenkins] - Agent 추가하기

목차 [Jenkins] - Jenkinsfile 작성하기 [Jenkins] - Gitea 와 연동하기 [Jenkins] - Agent 추가하기 [Jenkins] - Helm 을 이용한 Jenkins 설치하기 참고 https://artifacthub.io/packages/helm/jenkinsci/jenkins https://code00.tistory.com/123 https://hub.docker.com/r/jenkins/inbound-agent https://github.com/jforge/docker-jenkins-inbound-agent Agent 추가additionalAgents: maven: podName: maven customJenkinsLabels: maven image: jenkins/jnlp-agent-maven tag: jdk11 node: podName: node customJenkinsLabels: maven image: jenkins/jnlp-agent-node tag: latest

0

GitOps

GitOps 란?GitOps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배포 및 인프라 관리를위한 방법론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론은 Git을 단일 소스 진실로 사용하여 인프라 구성 및 애플리케이션 배포를 관리하는 접근 방식입니다. GitOps에서는 모든 인프라 구성 및 애플리케이션 코드가 Git 저장소에 저장됩니다. 이 저장소의 코드는 인프라 및 애플리케이션 배포를 자동화하는 CI / CD 파이프 라인에 의해 자동으로 관리됩니다. GitOps는 인프라 및 애플리케이션 배포를 추적하고, 문제가 발생하면 신속하게 대응 할 수 있습니다. 이는 모든 인프라 구성 및 애플리케이션 코드가 변경 사항을 기록하는 Git 저장소에 저장되기 때문입니다. GitOps에서는 이 변경 사항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배포 프로세스를 트리거하므로, 개발자는 프로덕션 인프라 및 애플리케이션 상태를 항상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GitOps는 코드 리뷰 및 승인 프로세스를 통해 변경 사항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변경 사항이 배포되기 전에 인프라 및 애플리케이션 코드가 검토 및 승인되므로 배포 오류 및 문제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GitOps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 및 인프라 배포를 단순화하고 자동화하는 강력한 방법론입니다.

0

쿠버네티스 - Code 로 Config 수정하기

목차 Post not found: k8s/namespace Post not found: k8s/ingress Post not found: k8s/deployment Post not found: k8s/replicaset Post not found: k8s/node Post not found: k8s/pod 참고 https://gist.github.com/mordr/3c2df494c690672247c720f66f0fb613 환경 변수 추가export KUBE_EDITOR='code --wait'

0

[Docker]

Container 란?컨테이너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요소가 포함된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의미합니다.Container 화된 어플리케이션은 실행시 별 독립된(격리된) 실행환경에서 실행됩니다. Docker 란? Docker 는 컨테이너 기반 가상화 플랫폼으로, 어플리케이션을 패키징하고 배포하는데 사용됩니다. 도커(Docker)는 컨테이너 기반 가상화 플랫폼으로, 어플리케이션을 패키징하고 배포하는 데 사용됩니다. 도커는 소프트웨어를 컨테이너로 묶어서 실행할 수 있게 해주며, 이 컨테이너는 호스트 시스템과 격리되어 있어 응용 프로그램의 이식성과 확장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0

[쿠버네티스] kubeconfig 파일

✅ kubeconfig 파일이란?kubeconfig 파일은 쿠버네티스 정보들을 담아놓은 설정 파일(configuration file) 로 kubectl 명령어가 쿠버네티스로 명령어를 보낼때 사용되는 참조 파일입니다. 설정 파일은 일반적으로 홈 폴더내 /.kube 폴더 안에 config 파일로 위치해 있습니다. ✅ config 파일 역할kubeconfig 파일에는 접속을 위한한 클러스터의 API 서버 주소, 클러스터의 인증서 경로, 보안 설정 등의 정보를 갖고 있어 Kubernetes 클라이언트가 올바른 클러스터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합니다. 또한, 사용자가 클러스터에 접근 및 인증을 위한 클라이언트 인증서와 개인 키나 인증 토큰등의 정보를 이용해 사용자 인증 및 권한 부여를 수행합니다. 마지막으로 어느 클러스터에 어떤 사용자 접근할지에 대한 정보를 조합해 컨텍스트로 정의 및 관리합니다. ✅ config 파일 주요 구성 요소kubeconfig 파일은 아래와 같은 항목들로 구성돼 있습니다.